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33

내 리눅스 서버에 Git 저장소 만들기

업무용으로 git을 사용하려다보니 아무래도 github같은 공개된 곳에 저장소를 두기보다는 나만의 서버에 저장소를 두어야 하는 일이 생겼다.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봐도 대부분 github를 이용하는 방법만 나와 있지 개별적으로 서버를 두고 사용하는 것에 대한 자료는 찾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추후에도 업무용으로 사용하려다보면 나만의 저장소를 따로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계속 발생할 것이기에 내용을 정리하고 한다. 1. Bare 저장소 생성 2. 서버로 Bare 저장소 복사 3. git용 계정 생성 4. git용 계정 서버 로그인 안되게 변경 5. git 명령어 제한 1. Bare 저장소 생성 먼저 저장소를 Bare 저장소로 만들어야 하는데 소스가 안보이는 형태의 저장소이며 폴더이름에 .git을 덧붙인 형태의..

개발 관련/Git 2023.01.14

구글 검색 방법

특정 단어 포함 ("") ex) 가계부 "복식" 특정 단어 제외 (-) ex) 가계부 -복식 숫자 범위 지정 검색 (..) ex) 2017..2020 가계부 유사 정보 검색 (~) ex) ~강남정형외과 검색할 단어가 기억나지 않을 때 (*) ex) 뉴턴 *이론 특정 확장자 검색 (filetype:) ex) 가계부 filetype:xls 특정 사이트 내 검색 (site:) ex) site:youtube.com 가계부 제목에 포함된 키워드 검색 (intitle:) ex) intitle:가계부 본문에 포함된 키워드 검색 (intext:) ex) intext:가계부 사전적 의미 검색 (define:) ex) define:가계부

카테고리 없음 2020.06.11
반응형